저자 | 안유경 |
정가 | 35000원 |
상세정보
조선의 성리학적 전통은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처럼 각각의 학파를 형성함으로써 학문체계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확장되어가면서 당시 사회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시대정신의 방향을 설정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해왔다. 특히 기호학파는 이이를 종사(宗師)로 삼아 기호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호서지역까지 광범하고 다양하게 전개되어 한말까지 지속됨으로써 300년의 역사적 전통을 갖는다. 임성주 역시 기호학파 낙론계열의 일원이며, 조선성리학의 6대가(大家) 중의 한 사람으로서 그의 학문적 위상은 조선성리학사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처럼 조선유학을 대표하는 이이와 이이의 학문을 계승 또는 기호유학을 대표하는 임성주의 성리학을 소개함으로써 이황 또는 영남학파와 구분되는 기호학파 성리학의 특징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제1부에서는 이이의 성리학적 특징을 다루고 제2부에서는 임성주의 성리학적 특징을 다루었다.
이이의 탁월한 학문적 성취는 한 시대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그 다음 시대로 이어져 많은 후학들이 그의 학풍을 계승함으로써 다양하게 전개되니, 17세기에 이르면 이이를 계승한 기호학파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이와 기호학파의 일원인 임성주의 성리학 내용을 다루기에 앞서, 서론부분에서는 이이의 학문이 기호학파로 이어져 어떻게 전개되어 나갔는지 그 전개 양상 전반을 영남학파와 연결시켜 개괄하였다.
<서문>
서론 이이와 기호학파 성리학 서설
1. 이이 성리학의 내용과 특징
2. 기호학파 성리학의 형성과 전개
<제1부> 이이의 성리학
제1장 맹자의 기론(氣論)과 이이의 ‘기’ 중시적 사고
1. 맹자의 기론(氣論)
2. 이이의 ‘기’ 중시적 사고
제2장 이이와 성혼의 사단칠정론
1. 이이의 사단칠정론
2. 성혼의 사단칠정론
제3장 이이와 한원진의 인심도심설
1. 이이의 인심도심설
2. 한원진의 인심도심설
제4장 이이의 심시기(心是氣)와 이진상의 심즉리(心卽理)
1. 이이의 심시기(心是氣)
2. 이진상의 심즉리(心卽理)
<제2부> 임성주의 성리학
제5장 임성주의 성리학 특징
1. 임성주의 이기론
2. 임성주의 심성론
제6장 임성주의 심론(心論)
1. 심이란 무엇인가
2. 심과 기질의 관계
3. 심과 성의 관계
제7장 임성주의 인물성동이론: 동론인가 이론인가
1. 임성주의 호론과 낙론 비판
2. 임성주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제8장 임윤지당의 성리학 특징
1. 윤지당의 이기론
2. 윤지당의 심성론
결론 이이와 임성주의 평가
1. 이이의 성리학에 대한 학계의 평가
2. 임성주의 성리학에 대한 학계의 평가
부록 이이의 향약에 보이는 협동조합 정신
1. 향약의 형성과 전개
2. 이이 향약의 조직과 운영 및 그 내용